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C

(13)
14. 포인터와 함수 1. #include void ShowArayElem(int * param, int len){ int i; for (i=0; i
13. 포인터와 배열 1. 배열의 주소값 출력 #include int main() { int arr[3]={0,1,2}; printf("array's name : %p \n",arr); printf("first value : %p \n",&arr[1]); printf("second value : %p \n",&arr[2]); printf("third value : %p \n",&arr[3]); return 0; } array's name : 0x7fff2f67d96c first value : 0x7fff2f67d970 second value : 0x7fff2f67d974 third value : 0x7fff2f67d978 2. #include int main() { int arr1[3]={1,2,3}; double arr2[..
12. 포인터 1.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=7; int * pnum; // 포인터변수 pnum 선언 pnum=# // num의 주소값을 포인터 변수 pnum 저장 } 2.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=100, num2=100; int *pnum; pnum=&num1; // 포인터 pnum이 num1을 가리킴 (*pnum)+=30; // num1+=30; 동일 pnum=&num2; // 포인터 pnum이 num1을 가리킴 (*pnum)-=30; // num1-=30; 동일 printf("num1:%d, num2:%d \n",num1,num2); return 0; }
9. 함수 1. 전달인자와 반환값
8. 조건문 1. if문 2. continue&break continue : 가장 가까이서 감싸고 있는 반복문 하나를 빠져나오게 된다. break : 이후는 생략하고, 다시 조건 검사로 이동한다. 3. switch문에 의한 선택적 실행과 goto문 #include int main(void) { int num; printf("1이상 5이하의 정수입력 :"); scanf("%d",&num); switch(num) { case 1: printf("1은 ONE\n"); break; case 2: printf("2은 TWO\n"); break; case 3: printf("3은 THREE\n"); break; case 4: printf("4은 FOUR\n"); break; case 5: printf("1은 FIVE\n"); ..
7. 반복문 1. While문 2. do while문 do를 앞에두고 while이 뒤로간다. 3. for문 for (초기식;조건식;증감식)
6-1 printf 함수 이야기 1. 서식문자의 종류와 그 의미 서식문자 출력 대상 출력 형태 %d char, short, int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%ld long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%lld long long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 %u unsigned int 부호 없는 10진수 정수 %o unsigned int 부호 없는 8진수 정수 %x, %X unsigned int 부호 없는 16진수 정수 %f float, double 10진수 방식의 부동소수점 실수 %lf long double 10진수 방식의 부동소수점 실수 %c char, short, int 값에 대응하는 문자 %s char * 문자열 2. 필드 폭을 지정하여 정돈된 출력 보이기 %8d : 필드 폭을 8칸 확보하고, 오른쪽 정렬해서 출력진행 %-8d : 필드 ..
5-1 C언어가 제공하는 기본 자료형의 이해 1.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데이터의 표현범위 - 정수형 : char(1바이트 : -128~127), short(2바이트 : -32,768 ~ +32,767), int(4바이트), long(4바이트), long long(8바이트) - 실수형 : float(4바이트), double(8바이트), long double(8바이트 이상) - 연산자 sizeof를 이용하면 자료형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음 2. 실수를 표현 및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자료형의 선택 실수자료형 소수점 이하 정밀도 바이트 수 float 6자리 4 double 15자리 8 long double 18자리 12 3. unsigned를 붙여서 0과 양의 정수만 표현하게 할 수 있다. 정수 자료형의 이름에 한해서 unsigned선언을 추가하면, 0..